지난 22일 산청 산불을 진압하던 인솔 공무원 1명과 산불진화대원 3명이 안타깝게 목숨을 잃었습니다. <br /> <br />고령에 화마와 싸우다 간 이들, 결국 안전 대책이 부실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이 높은데요, 무엇이 문제일까요? <br /> <br />산불진화작업을 하다 숨진 대원은 지난 2010년부터 집계해도 15명이나 됩니다. <br /> <br />이번처럼 여러 명이 목숨을 잃은 일은 29년 전에도 있었는데요, <br /> <br />지난 1996년 4월 경기도 동두천 야산에서 난 불을 끄던 동두천시 산림계장과 공익근무요원 6명 등 총 7명이 희생되는 참사가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산불은 소방 당국이 아닌 산림청·지방자치단체 소속인 산불진화대가 주로 담당합니다. <br /> <br />위험을 감수하며 산불을 진압하지만 처우는 열악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 <br /> <br />급여는 하루 8만 원 정도로 최저임금 수준이고, 고용 형태도 기간제, 무기계약직으로 불안정해서 오랫동안 일하며 전문성을 쌓기 힘든 게 현실입니다. <br /> <br />보호장비 등 안전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산림청은 평소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진화작업 투입 전에 안전장비 착용 등을 당부한다고 하지만, <br /> <br />현장에서는 "전문적 훈련과 장비 없이 공무원 산불 진화 동원을 당장 중단하라"며 "관련 자격을 갖춘 전문 직렬 신설 등 대책이 필요하다"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가장 큰 문제는 산불진화대가 빠르게 고령화하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근무여건이 열악하다 보니 젊은 지원자가 드물고 특히 농촌 지역은 고령화가 심각해 주로 60대 이상 퇴직자로 구성될 수밖에 없는데요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해 전국 진화대원의 평균 나이는 61세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목숨을 잃은 산불진화대원 3명도 모두 60대였는데요. <br /> <br />우리 산림을 지키는 파수꾼들이 처한 현실을 면밀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자막뉴스ㅣ박해진, 이도형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32509510255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